맨위로가기

칼링가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링가 전쟁은 마우리아 제국의 아소카 왕이 칼링가 왕국을 정복하기 위해 벌인 전쟁이다. 번영한 국가였던 칼링가는 마우리아 제국에게 전략적 위협이었고, 아소카는 즉위 8년 후 대군을 이끌고 칼링가를 공격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칼링가는 패배하여 마우리아 제국에 병합되었지만, 아소카는 전쟁의 참혹함에 깊이 후회하며 비폭력주의를 따르게 되었다. 이 전쟁은 아소카의 통치 방식을 변화시켰고, 그의 칙령에 기록되어 있다. 칼링가 전쟁 이후 마우리아 제국은 40년 이상 평화와 번영을 누렸으며, 이 사건은 영화와 소설 등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링가 - 카루바키
    아소카 왕의 왕비 중 한 명인 카루바키는 아소카의 칙령에 자선 기부 기록이 남아있고, 아들 티바라의 어머니이자 아소카 비문에 이름이 언급된 유일한 왕비로 알려져 있으며, 아소카를 불교로 이끌고 복지 정책을 조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칼링가 -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마하메가바하나 왕조는 기원전 2세기경 칼링가를 통치했으며 카라벨라 왕의 하티굼파 비문과 자이나교 유적을 통해 알려진 고대 왕조이다.
  • 마우리아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난다-마우리아 전쟁
    난다-마우리아 전쟁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난다 제국을 멸망시키고 마우리아 제국을 건국하기 위해 벌인 고대 인도 전쟁이다.
  • 마우리아 제국이 참전한 전쟁 - 마우리아-셀레우코스 전쟁
    마우리아-셀레우코스 전쟁은 기원전 305년경 마우리아 제국과 셀레우코스 제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셀레우코스의 인더스 강 유역 영향력 확대 시도와 마우리아 제국의 충돌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이후 평화 협정을 통해 영토 양도와 전투 코끼리 제공 등 양국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칼링가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 명칭칼링가 전쟁
일부마우리아 제국의 정복
칼링가(벵골 만 인접)와 마우리아 제국(파란색)은 아소카의 공격 이전 상태
시기기원전 262년경 시작, 기원전 261년경 종료 (아소카의 기원전 268년 즉위 후 8년)
장소칼링가
결과마우리아 제국의 승리, 칼링가가 마우리아 제국에 합병됨
교전 세력
교전국 1마우리아 제국
교전국 2칼링가
지휘관 및 지도자
마우리아 제국아소카
칼링가
난디데바
마하파드마나바
병력 규모
마우리아 제국알려지지 않음
칼링가보병 60,000명
보병 150,000명
기병 10,000명
말이 끄는 전차 1,000대
전투 코끼리 700마리
사상자 및 피해
마우리아 제국알려지지 않음
칼링가사망자 100,000명
7만명
추방자 150,000명 (아소카의 기록)
전멸
추가 정보
배경칼링가마우리아 제국의 주요 해상 무역로를 차단함
영토 변경칼링가 지역이 마우리아 제국의 영토로 편입됨
영향마우리아 제국의 확장 정책 중단
아소카의 불교 귀의

2. 배경

마우리아 제국이 칼링가를 침공한 이유는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것이었다. 칼링가는 평화롭고 예술적으로 숙련된 사람들로 구성된 번영한 지역이었다.[26] 그들은 무역을 위해 처음으로 남동쪽으로 연안을 여행한 지역이었으며, 그런 이유로 칼링가에는 중요한 항구와 강력한 해군이 있었다. 그들은 열린 문화를 가지고 있었고 통일된 민법을 사용했다.[27]

칼링가는 기원전 321년에 난다 왕조가 몰락할 때까지 난다 왕조의 통치 아래에 있었다.[28] 아소카의 할아버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는 이전에 칼링가 정복을 시도했지만 격퇴되었다. 아소카는 자신이 왕권이 안정화되었다고 느끼자마자 새로 독립된 제국을 정복하는 임무에 착수하였다.[27] 마우리아 제국에게 있어 칼링가는 전략적 위협이었는데, 칼링가는 마우리아의 수도 파탈리푸트라와 중앙 인도 반도의 마우리아 영토 사이의 연락을 방해할 수 있었고, 칼링가는 또한 벵골의 무역 해안선 만을 통제하였기 때문이었다.[29]

3. 전개

본래 마우리아 제국에서는 칼링가의 군대를 과소평가하여 소수의 군대만을 파견하였으며, 이로 인해 칼링가군에 패배를 당했다. 이후 기원전 265년에 아소카가 직접 보병 60만, 기병 10만, 코끼리 부대 9천 마리로 구성된 대군[31]을 이끌고 친정에 나섰다. 마우리아군은 칼링가의 입구인 마하나디강에 도착하였다. 이 강을 건너가던 도중 아소카가 칼을 강물에 빠뜨리자 이를 본 군사들이 불길한 예감에 철군을 요청하였지만, 아소카는 부하들의 불길한 예감을 떨쳐버리고 군대의 사기를 독려시키기 위하여 더 공격적인 자세로 진군에 나섰다. 마침내 마하나디강의 지류인 다야강(다야 강)에서 칼링가군과 전면전을 치른 끝에 당시 칼링가의 왕인 마하파드마나바를 포함한 칼링가군 10만 명이 전사하면서 칼링가 전쟁은 마우리아 제국의 승리로 종결되었다.[30]

아소카의 칙령에 따르면 이 전쟁은 아소카 통치 8년에 완료되었으며, 아마도 기원전 261년에 일어났을 것이다. 메가스테네스에 따르면, 칼링가의 통치자는 보병, 기병 및 코끼리로 구성된 강력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15] 아쇼카의 할아버지인 찬드라굽타도 칼링가국을 정복하려는 전쟁을 일으켰으나 격퇴당했다. 아버지인 빈두사라 사후의 치열한 후계자 경쟁에서 승리한 후 아소카는 칼링가국 병합을 추진했다. 아소카 통치 9년째에 전쟁이 시작되었다.

부바네스와르에서 남쪽으로 8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다우리산은 Daya River|다야 강영어 강변에 위치하고 넓은 기슭을 가지고 있으며, 다우리 주변이 전장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전쟁은 처참하여, 전장이 된 다야강 하류는 전투로 인한 사람의 피로 새빨갛게 물들었다고 한다. 칼링가 국민 10만 명이 사망하고 마우리아 제국군도 1만 명의 사망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4. 결과

샨티 스투파, 다훌리 언덕은 칼링가 전쟁이 일어난 곳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칼링가마우리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칼링가 전 지역은 약탈되었고 파괴되었다. 아소카의 후기 칙령에는 칼링가 측에서 약 15만 명이 사망했고, 아소카 군대에서도 거의 동일한 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오디샤인 사이의 전설에서는 이것이 과장된 수치라고 말한다. 수천 명의 남성과 여성이 칼링가에서 추방되어 황무지 개간 작업을 해야 했다.[32]

아소카는 전쟁의 참상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아 불교에 귀의하였다. 그는 다르마에 대한 강한 성향, 다르마에 대한 사랑, 다르마에 대한 교육에 대한 사랑을 느끼게 되었고, 칼링가를 정복한 것에 대해 깊은 후회를 느꼈다고 한다.[33] 칼링가 정복 이후 아소카는 제국의 군사 확장을 끝내고 40년 이상의 상대적인 평화, 조화 및 번영의 시대를 시작하였으며, 이로 인해 당시 남인도 최남단에 존재하던 촐라, 판디아, 체라 3국가들이 존속할 수 있었다.

4. 1. 아소카 왕의 칙령

칼링가 전쟁에 대한 아소카의 반응은 아소카의 칙령에 기록되어 있다. 아소카는 유혈 사태를 목격하고 자신이 파괴의 원인이라고 느꼈다.[16] 칼링가 전쟁은 불교도였던 아소카가 남은 생애를 아힘사(비폭력)와 다르마-비자야(다르마를 통한 승리)에 헌신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칼링가 정복 이후, 아소카는 제국의 군사 확장을 끝내고 40년 이상의 상대적인 평화, 조화, 번영의 시대를 열었다.[18]

5. 대중 문화

2001년 인도 힌디어 영화 ''아쇼카''는 칼링가 전쟁을 소재로 한다.[19]

안슐 듀파레의 책 "아쇼크와 아홉 명의 미지인"은 칼링가 전쟁의 후유증을 다룬다.[19]

참조

[1] 서적 Atlas Of Ancient Worlds http://archive.org/d[...] DK Publishing
[2] 서적 India http://archive.org/d[...] North Babylon Public Library 2010
[3] 문서 Ashoka
[4] 서적 Chandragupta Maurya and His Times Motilal Banarsidass 1988
[5] 문서 Buddhist Architecture Grafikol 2009
[6] 서적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 A Non-European Perspective http://archive.org/d[...] 2019
[7] 웹사이트 Greatest Battles In The History Of India https://www.worldatl[...] 2016-09-19
[8]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From the Accession of Parikshit to the Extinction of the Gupta Dynasty https://books.google[...] Cosmo Publications
[9] 서적 Janapada state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Bhāratīya Vidyā Prakāśana
[10] 간행물 Military History of Orissa Cosmo Publications, New Delhi 1986
[11] 문서 1996
[12] 서적 India at a glance http://archive.org/d[...] Delhi : Kalpaz Publications 2013
[13]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6-28
[14] 간행물 Military History of Odisha Cosmo Publications, New Delhi 1986
[15] 서적 Total History and Civics Morning Star
[16]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6-28
[17] 서적 Ashoka: The Search for India's Lost Emperor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8-05-01
[18] 서적 Dance legacy of Patliputra http://archive.org/d[...] Publications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t. of India 1999
[19] 웹사이트 Ashok and the Nine Unknown https://www.goodread[...]
[20] 문서 Natural History 77 CE
[21]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2015-08-17
[22] 웹인용 Greatest Battles In The History Of India https://www.worldatl[...] 2019-06-28
[23] 웹인용 Detail History of Odisha http://www.odisha.go[...] 2021-02-12
[24]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From the Accession of Parikshit to the Extinction of the Gupta Dynasty https://books.google[...] Cosmo Publications 2019-06-27
[25] 문서 Emperor Aśoka and Buddhism: Unresolved Discrepancies between Buddhist Tradition & Aśokan Inscriptions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995
[26] 서적 Glimpses of Kalinga History http://www.dli.ernet[...] Century Publishers 2016-05-16
[27] 간행물 Military History of Orissa Cosmo Publications, New Delhi 1986
[28] 문서 1996
[29]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6-28
[30] 간행물 Military History of Odisha Cosmo Publications, New Delhi 1986
[31] 웹사이트 https://www.icrc.org[...]
[32] 서적 Military Manpower, Armies and Warfar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6-28
[33] 서적 Ashoka: The Search for India's Lost Emperor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8-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